2024년 1월 9일부터 온라인 주택담보대출 대환대출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핀테크 업체 및 금융사들이 적극적으로 고객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담대 규모가 1,000조 원이 넘는 만큼 관심도가 높아 고객들을 끌어모으기 위해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각 금융사 및 핀테크업체들의 금리, 혜택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대환대출(갈아타기) 대상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모두 10억 원 이하 및 정상적으로 상환 중인 대출에 대해서만 대환대출이 허용됩니다.
1. 주택담보대출(2024. 1. 9.부터)
- 조건 : 기존 주담대 실행 후 6개월 경과(단, 저금리 정책금융상품 디딤돌 대출, 중도금, 잔금대출 등 제외)
2. 전세대출(2024. 1. 31.부터)
- 조건 : 기존 전세대출 실행 3개월 이후부터 전세 임차 계약기간이 절반이 도래하기 전(단, 주택도시기금대출 버팀목 전세대출 등 제외)
3. 대환대출 서비스 이용현황
주담대 대환대출 서비스가 시작된 지난 1월 9일부터 12일까지 4일간 신규 주담대 신청을 완료한 차주는 총 5,657명입니다. 신청이 완료된 대출액은 1조 307억 원으로 갈아타기가 최종 완료된 대출의 평균 금리 인하폭은 1.5% 포인트이며, 차주 1인당 연간 기준 이자 절감액은 약 337만 원입니다.
(예시) 2018년 11월 금리 5.4%(만기 35년)에 약정한 주담대를 금리 3.6%(만기 35년)로 갈아타 월 원리금 상환액을 25만 원을 줄였습니다.
주요 은행 갈아타기 서비스
4대 은행의 평균 대환용 주담대 금리는 3.73%로 은행권의 주담대 잔액기준 평균 금리(지난해 11월 기준)가 4.30%인 것을 감안하면 0.57%가 낮습니다. 30년 만기로 3억 원을 원리금균등 상환식으로 대출받는다면 연 상환금액을 약 120만 원을 아낄 수 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혼합형 금리 비교(2024. 1. 10. 기준) | ||
은행별 | 갈아타기 주담대 | 기존 주요 주담대 |
KB국민은행 | 3.68% | 3.38 ~ 4.78% |
신한은행 | 3.69% | 3.44 ~ 5.45% |
하나은행 | 3.666% | 3.676 ~ 4.076% |
우리은행 | 3.83% | 3.63 ~ 4.83% |
NH농협은행 | 3.77% | 3.40 ~ 5.10% |
카카오뱅크 | 3.49 ~ 3.82% | 3.56 ~ 5.36% |
케이뱅크 | 3.66 ~ 5.29% |
1. 신한은행
- 금리인하 : 3.69%로 낮췄습니다.
- 혜택 : 다른 금융기관 주택담보대출을 신한 쏠(SOL) 뱅크" 또는 영업점에서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갈아탄 고객 중 선착순 500명에게 최대 20만 원의 첫 달 이자(마이신한포인트)를 지원합니다.
2. KB국민은행
- 금리인하 : 모바일 앱 전용상품의 금리를 3.68%로 단일금리로 지정했습니다.
- 혜택 : 1월 31일까지 주담대 대환대출 인프라 이벤트에 응모하고 오는 3월 21일까지 KB스타뱅킹에서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를 완료하면 모든 고객에게 첫 달 이자를 최대 5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3. 하나은행
- 금리인하 : 금리 하단을 3.666%로 낮추었습니다.
- 혜택 : 오는 3월 29일까지 주담대 갈아타기 전용 상품 신규 대출을 받은 고객 중 선착순 2,000명에게 인당 최대 75,000원의 포인트(하나머니) 제공합니다.
4. 케이뱅크
- 금리하단은 고정혼합 3.66%, 변동 3.67%입니다.
5. 카카오뱅크
- 주담대 최저금리는 3.49%(혼합형)입니다.
핀테크 업체 대출비교 플랫폼
아파트 주담대의 경우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핀다. 뱅크샐러드. 핀크. 에이피더핀 등 7개 대출비교 플랫폼에서 갈아타기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전세대출의 경우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핀다 등 4개 대출비교 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네이버페이
- 주담대 갈아타기와 신규 대출 비교가 모두 가능한 주택담보대출 비교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 갈아타기의 경우 시중은행 6개사(신한, 우리, 하나, NH농협, IBK기업, SC제일)와 부산은행. 광주은행. 케이뱅크. 교보생명 등 총 10개 금융사의 금리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 여기에 네이버페이는 부동산 수요자가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인 "네이버페이 부동산"과 연계해 사용자들의 이용 동선에 맞춰 부동산 콘텐츠부터 관련 금융상품 추천, 최저 금리비교까지 종합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카카오페이
- 시중은행 5개사(신한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케이뱅크, 부산은행. 교보생명)와 함께 주담대 갈아타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3. 토스
- 하나의 담보물에 대출 2개가 있을 때 금리가 높은 것만 별도로 갈아타는 것이 가능합니다. 대부분 2개의 대출을 하나의 대출로 바꾸는 통합 대환만 가능한 것에 비해 차별화한 것입니다.
4. 뱅크샐러드
- 주담대 대환대출 서비스에서는 하나은행, SC제일은행, 대구은행, 교보생명이 입점했으며, 현재 제1금융권과 추가 입점 협의 중이며, 상품 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 "대출금리 할인쿠폰"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뱅크샐러드에서 주담대 갈아타기 사전신청을 했다면 0.3% 대출금리 할인쿠폰을 받을 수 있는데 1억 원 대출 시 210만 원 캐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대환대출 대상, 주요 은행, 핀테크 업체 등 갈아타기 서비스 혜택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온라인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플랫폼에서 금리 등을 비교해 보시고 금리인하의 혜택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정부,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등 제도,정책,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서울사랑상품권 연간 발행 일정, 구매 방법, 사용처 알아보기 (1) | 2024.01.23 |
---|---|
서울시 중장년 보람일자리 5,600명 모집 알아보기 (1) | 2024.01.22 |
소상공인 희망동행자금 신청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4.01.11 |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알아보기 (1) | 2024.01.10 |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인하 개편안 및 모의계산 알아보기 (0)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