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등 제도,정책,사업

공동주택 내 국.공립어린이집 이용 방법, 설치 혜택, 설치 과정 알아보기

by 머니투데이0618 2023. 8. 6.
SMALL

목차

    국. 공립어린이집이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설치, 운영하는 어린이집입니다.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국. 공립어린이집을 신규설치하거나 기존 민간어린이집을 매입, 리모델링 등 국공립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기존 민간어린이집은 구. 군에서 민간어린이집 원장과 사전 협의한 후 민간어린이집을 폐지하고, 부지, 건물에 대한 무상임대계약을 체결한 후 리모델링 등을 거쳐 국. 공립어린이집으로 설치인가하여 전환하고 있습니다.

    국. 공립어린이집 이용방법

    입소희망 국. 공립 어린이집에 입소대기 등록을 하고, 확정시 이용하시면 됩니다. 입소대기 신청안내는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입니다.

    공동주택 내 국. 공립어린이집 설치 혜택

    - 입주자 자녀는 국. 공립어린이집 1순위로 입소가능합니다.(최대 70%)

    - 국. 공립어린이집 시설 유지보수는 지자체가 책임. 관리합니다.

    - 국. 공립어린이집 위탁자는 지자체가 직접 결정합니다.

    (단, 민간어린이집 국공립 전환 시 기존 원장의 초기 운영권 보장합니다.)

    - 무상임대를 통한 지자체 직접 설치로 초기 투자비용, 보증금, 임대료가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인 보육가능합니다.

    공동주택 내 국. 공립어린이집 설치 과정

    - 기존아파트(유상임대 중인 관리동 민간어린이집의 국. 공립 전환) 설치 과정

    1. 공동주택 내 국. 공립어린이집 설치 관련 사전 협의(구. 군, 입주자대표회의, 원장)

    2. 공동주택 관리규약(과반동의 등)에 의거 입주자대표회의 의결

    3. 입주자대표회의 의결 결과 전달(입주자대표회의→구. 군)

    4. 국. 공립어린이집 설치계획 수립

    5. 국. 공립어린이집 확충예산(설치비) 확보(국비 50%, 시비 25%, 구. 군비 25%)

    6. 구. 군과 입주자대표회의 협약체결하고 주민공동시설 어린이집 계약방법 변경(유상임대→무상임대)

    7. 어린이집 리모델링, 기자재비 구입, 국. 공립어린이집 설치인가

    8. 국. 공립 전환 시 인센티브 지원(시→입주자대표회의, 원장), 시비 100%, 최대 5천만 원

    9. 국. 공립어린이집 개원(기존 원장의 초기 운영권 보장)

    - 신규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 구성 전, 국. 공립어린이집 신규 설치) 설치 과정

    1. 공동주택 내 국. 공립어린이집 설치 관련 사전 협의(구. 군, 사업주체)

    2. 공동주택 내 국. 공립어린이집 설치 관련 입주예정자 과반수 서면 동의

    3. 사업주체 입주예정자 의견 조사결과 제출(사업주체→구. 군)

    4. 국. 공립어린이집 설치계획 수립

    5. 국. 공립어린이집 확충예산(설치비) 확보(국비 50%, 시비 25%, 구. 군비 25%)

    6. 구. 군과 사업주체 협약체결하고 주민공동시설 어린이집 무상임대계약

    7. 시설 리모델링, 기자재비 구입, 국. 공립어린이집 신규 설치인가

    8. 국. 공립어린이집 개원(어린이집 원장은 사전 공개채용)